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군사조직 (육군)

pioneer reporter 2024. 2. 13. 16:52

육군은 육군본부와 2개의 작전사령부, 수도방위사령부, 특수전사령부, 항공사령부, 미사일전략사령부, 동원전력사령부, 기타 지원부대로 편성되어 있다. 주요 조직과 보유 전력은 [도표 3-2]와 같다.

(출처: 2022 국방백서)

■  지상작전사령부는 작전지역 내에서 모든 작전요소를 통합하여 다양한 지상작전을 수행하고,(지상작전사령부(地上作戰司令部, Ground Operations Command)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이다. 본부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해 있다. 지상작전사령부는 제1, 3야전군의 임무였던 경기도, 강원도, 인천광역시 방위임무를 이어받았다.)

(출처:위키백과)

■ 2작전사령부는 민····소방 통합방위작전으로 합동후방지역의 안정과 전쟁지속능력을 유지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육군제2작전사령부(陸軍第二作戰司令部, 2nd Operations Command)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이다. 후방지역인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등 6개 도와 5개 광역시를 방어한다.

(출처:위키백과)

■  수도방위사령부는 수도 서울의 기능 유지를 위해 중요시설과 도시기반시설을 방호하고,

수도방위사령부(首都防衛司令部, Capital Defense Command)는 서울특별시를 방위하는 임무를 가진 대한민국 육군본부 직할의 사령부이다. 본부는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도권 외곽 지역의 방위 임무는 수도군단이 맡는다수도방위사령부는 대한민국 국군에 소속된 사령부 중 유일하게 대통령 직할 명령 체계에 소속되어 있는 사령부로, 전쟁 발발 시 모든 전시 작전통제권이 미국의 한미연합군사령부에게 넘어가도 수도방위사령부는 그에 간섭을 받지 아니하고 전시 작전통제권에 따라 오직 대통령의 명령으로만 작전을 수행한다.

■  특수전사령부

육군특수전사령부(陸軍特殊戰司令部, 영어: Republic of Korea Army Special Warfare Command, ROK-SWC 또는 Republic of Korea Army Special Forces, ROK-SF)는 대한민국 육군의 특수부대로, 흔히 특전사라고 줄여서 부른다. 3성 장군(중장)이 지휘하며, 검은색 베레모를 쓴다.

유사시 육지, 공중, 바다의 다양한 루트로 적진에 깊숙히 침투하여, 게릴라전, 교란작전, 정찰, 정보수집, 직접타격, 요인암살 및 납치, 인질구출, 주요시설 파괴, 항폭유도, 민사심리전, 비정규전 등 각종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다. 구호는 "안되면 되게하라!" ,"사나이 태어나서 한번 죽지 두번 죽나" 유사시에는 게릴라전 용도로 현지 주민을 징병해 휘하 병력으로 사용하는 작전을 수행하기도 한다.

전시에는 주한 미군 특수작전사령부과 병합되어 연합 특수전 사령부(영어: Combined Unconventional Warfare Task Force (CUWTF))로서 작전을 수행하게 된다. 전시 특수작전과 평시 평화지원작전 임무를 수행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수전사령관은 연합특수전사령부의 사령관으로 지정된다.

■  항공사령부(해군잠수함사령부와 같이 특정 분야의 작전을 수행하는 부대 명칭의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육군항공사령부로 변경)는 항공작전을 수행한다.

■  미사일전략사령부(전략적 억제 및 대응능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기존에 한정된 임무만을 수행하던 육군미사일사령부를 전략적·작전적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로 개편하는 한편, ·미 미사일 지침의 종료로 우리 군이 개발 운용하는 미사일의 사거리와 탄두 중량 등의 제한이 해제됨에 따라 보다 향상된 미사일 능력을 실효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격상된 역할과위상에 맞게 변경) 는 전략적·작전적 표적 타격 임무를 수행하고,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陸軍미사일戰略司令部, Army Strategic Missile Command, 별명: 무극부대)는 대한민국 육군본부의 직할 사령부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주둔하고 있으며 한국의 탄도 미사일인 현무를 운용한다. 부대 편성에 대해서는 군사 II급비밀로 분류되어 작성 금지 되어있다.

■  동원전력사령부는 동원사단, 동원지원단 등 동원전력의 평시 전투준비태세를 완비하도록 관장하고, 그 외 사령부는 인사 및 군수지원, 교육훈련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육군은 현존전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미래 합동작전개념 구현을 위해 신속결정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부대를 개편하고, K2전차, 한국형 기동헬기, 다련장로켓 등 기동 및 타격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고 있다.

특히, ·무인 복합전투체계 기반의 Army TIGER(Army Transformative Innovation of Ground forces Enhanced by the 4th industry Revolution technology) 4.0, 정찰·공격·전자전 드론을 활용하는 드론봇 전투체계(공중 및 지상전에서 복합적으로 운용되는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의 하나로서 정찰, 공격, 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각 체계들의 모든 센서와 실시간 연동되는 AI기반 C4I체계가 통합되어 최적의 작전을 수행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투체계), 워리어 플랫폼 전력화와 연계하여 부대·전력구조를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출처:위키백과)